[가이드] 루버, 텍스, 슬라브 투 슬라브란? 총무팀을 위한 사무실 인테리어 사전
견적서를 받았는데 생소한 단어들이 가득하다면?
‘루버’, ‘텍스’, ‘슬라브 투 슬라브’ 같은 낯선 용어들에 당황한 적 있으신가요?
오피스 인테리어는 실무에 들어서면 예상보다 훨씬 많은 전문 용어와 마주하게 됩니다.
하이픈디자인은 이런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처음 오피스 인테리어를 접한 실무자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오피스 인테리어 용어집을 만들었습니다.
이 용어집, 왜 필요한가요?
오피스 인테리어 프로젝트는 작은 오해 하나로도 예산 낭비와 일정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용어 이해는 빠르고 정확한 협의의 첫걸음입니다.
이번 자료는 총무팀, 인사팀, 스타트업 대표님처럼 인테리어 경험이 적은 실무자도 견적서 검토, 시공 제안서 확인, 공간 구성 협의에 어려움 없이 대응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꼭 필요해요!
견적서를 검토할 때 마감재, 바닥재, 조명 명칭이 낯설게 느껴질 때
시공 제안서나 배치도를 검토할 때 공간의 용도나 자재가 헷갈릴 때
‘포커스존’, ‘리차징룸’, ‘흡음보드’ 등 용어가 막연하게 느껴질 때
※ 아래는 하이픈디자인 <오피스 인테리어 용어 모음집>의 내용 일부를 발췌해 작성했습니다.
더 많은 용어를 알아보고 싶다면 모음집을 다운로드해 보세요.
1. 계약 및 견적 용어
용어 | 설명 |
---|---|
직접공사비 | 자재·노무비 등 실제 시공에 직접 투입되는 비용으로, 구조물 설치·마감 등 공사 본체를 구성하는 항목에 해당한다. |
간접공사비 | 공사에 직접 투입되지는 않지만 공정 운영에 필요한 비용으로, 현장 관리비, 안전관리비, 보험료 등이 포함된다. |
전용면적 | 사무실 내부처럼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공간의 면적으로, 복도·엘리베이터 등 공용 공간을 제외한 면적이다. |
공급면적 | 전용면적에 복도, 엘리베이터홀, 로비 등 공용면적을 더한 전체 면적이다. |
실평수 |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순수 면적으로, 전용면적에서 벽 두께나 설비 공간 등을 제외한 실사용 공간을 의미한다. |
📌 Tip: 용어집에 포함된 면적 단위 변환표로 직접 실평수를 계산 해볼 수 있어요.
2. 자재 및 시공 용어
용어 | 설명 |
---|---|
루버 | 좁은 목재 판을 비스듬히 세워 시각적 개방감과 고급스러운 공간감을 주는 구조물로, 대표실이나 회의실에서 많이 사용된다. |
텍스 | 목재, 짚, 수수대 등 섬유를 압축한 천장 흡음 마감재. 가격이 저렴하고 설치가 간편하지만, 내구성은 다소 낮다. |
흡음보드 | 벽체나 천장에 설치해 소리의 반사와 울림을 줄여주는 마감재로, 내부에 흡음 기능이 있는 소재로 제작된다. 방송실, 회의실, 강의실 등에서 음향 제어 목적으로 사용된다. |
유공보드 | 석고보드에 구멍을 뚫은 흡음 보드로, 실내 소음 개선과 디자인 포인트를 동시에 줄 수 있는 자재이다. |
슬라브 투 슬라 |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순수 면적으로, 전용면적에서 벽 두께나 설비 공간 등을 제외한 실사용 공간을 의미한다. |
3. 오피스 공간 유형
용어 | 설명 |
---|---|
포커스부스 | 1인용 또는 소형 방음 부스로, 집중이 필요한 작업 시 사용하는 공간이다. 외부 소음 차단 및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이 강조된다. |
포커스존 | 1~2인이 사용할 수 있는 집중 업무 전용 공간으로, 장시간 몰입 업무나 고요한 환경이 필요한 경우 활용된다. |
QA | Office Automation, 사무자동화란 뜻으로 프린터 복합기, 파쇄기, 제본대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
하이픈디자인 오리지널 콘텐츠
실무자가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오피스 인테리어 용어집, 이제는 어렵게 느끼지 마세요!
하이픈디자인이 직접 정리한 이 실무형 자료는 각 용어의 정의뿐 아니라 실제 시공 사례까지 함께 담겨있어, 기획 회의부터 견적 협의, 시공 제안서 검토까지 훨씬 수월하게 만들어 줍니다.
지금 바로 [오피스 인테리어 용어집]을 다운로드해 보세요.
스마트하게. 쉽게. 합리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