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게임즈, 사무실 보안과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ESG 친환경 오피스 인테리어
Client | 카카오게임즈(Kakaogames) |
Measure | 162.1평(536㎡) |
Work Scope |
|
Complete Date | 2025년 6월 |
카카오게임즈는 카카오의 게임 전문 자회사로, PC, 모바일, VR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게임을 서비스하는 기업입니다. 국내 게임사 가운데 가장 적극적으로 ESG 경영을 추진해 온 기업이기도 하죠.
이번 14층 라운지 리모델링 프로젝트에서도 ‘임직원과 외부 고객의 동선 분리’, 그리고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공간 설계’라는 명확한 방향이 제시됐습니다.
하이픈디자인은 동선의 효율성과 공간의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담아낸 설계를 통해, 브랜드 가치와 ESG 철학이 공존하는 프로젝트를 완성했습니다. ESG를 반영한 사무실 인테리어를 준비하는 기업이라면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을 거예요.
동선
기존 14층 라운지는 외부 방문객과 임직원의 동선이 혼재되어, 보안과 프라이버시 측면에서 불편함이 있었는데요. 특히, 구성원의 복지를 위한 '크루 케어존'은 명확한 구획 없이 곳곳에 흩어져 있어 공간 활용이 비효율적이고, 이용자 역시 복잡한 동선에 불편을 겪어야 했습니다.
또한, 웰컴존 역시 협소하여 방문객 응대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라운지나 카페테리아로 이어지는 흐름은 단절된 채로 구성되어 전반적인 공간의 유기적인 동선 확보가 어려웠습니다.
이에따라, 하이픈디자인은 '공간 최적화 업데이트'에 방향성을 두고, 동선 구조를 전면 재설계했습니다. 입구에서 주요 공간까지의 흐름을 간결하게 정리하는 동시에, 방문 목적에 따라 동선을 분리해 보안성과 효율성을 모두 확보했습니다. 공간 간 연결성과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함으로써, 크루들이 더욱 집중하고, 편안히 쉴 수 있는 환경을 구현했습니다.
라운지
기존 레이아웃에서는 카페테리아와 웰컴존이 분리돼 있었지만, 이번 리모델링에서는 과감하게 두 공간을 합쳐 넓은 라운지로 구성했습니다. 하이픈디자인은 두 곳 모두 여러 사람이 함께 쓰는 ‘공유 공간’이라는 부분에 집중했는데요. 라운지를 중심으로 다른 공간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허브(Hub)’처럼 설계했습니다. 이를 통해 공간 간 시너지를 극대화했죠.
공간 중심에 배치된 카카오게임즈 전용 라운지는 업무와 휴식, 미팅과 이벤트가 유연하게 섞이는 중심 거점으로 기능하며 'Synergy of Spaces', 즉 공간 간 조화를 통한 새로운 경험을 완성했습니다.
또한, 라운지 상부에는 1㎡당 약 88개의 폐플라스틱 병을 분쇄·가공해 제작한 그리드 패널을 적용해, 크루와 손님을 연결하는 중신 허브라는 시각적 아이덴티티를 부여함과 동시에, 펠트 소재와 함께 공간 내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기능도 더했습니다.
웰컴 데스크에는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테라조 패널을 사용하여, 버려진 자원이 새롭게 태어나는 'Rebirth'의 메시지를 담았았습니다. 이는 카카오게임즈의 창의성과 순환적 사고를 공간적으로 표현한 요소이기도 합니다.
또한 라운지 가구 일부는 기존 가구를 재사용함으로써, 버려지지 않는 가치와 지속 가능한 ESG 가치를 실현했습니다.
잇팩(캔틴)
‘잇팩(EAT PACK)’이라 불리는 캔틴 공간은 기존 대비 약 48% 확장하여, 임직원이 더 여유롭고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는 복합 휴게 공간으로 재구성했습니다.
이번 리모델링에서는 편의점 개념을 도입해, 간단한 간식과 음료를 자율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셀프 푸드존을 마련해 이용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또한, 판교역 뷰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바 테이블을 창가 쪽으로 배치했으며, 상판에는 커피박 987잔 분량을 압축·가공한 업사이클링 소재를 적용해 친환경 메시지를 담았습니다. 단순한 휴게 공간을 넘어, 기능성과 ESG 철학이 공존하는 상징적인 공간으로 완성한 사례입니다.
인터뷰 대기부스 & 인터뷰룸
카카오게임즈는 인터뷰어들을 위한 별도의 대기 공간을 두고 있었지만, 면접 전 심리적 안정감과 정돈된 분위기 제공을 위해 한층 더 세심한 공간 구성을 원했습니다.
이에 하이픈디자인은 각 대기 부스마다 개인 파티션과 거울을 배치해, 간단한 용모 정돈은 물론 면접 준비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습니다. 전체 마감은 우드 톤을 사용해 자연스럽게 긴장을 완화하고 정서적 웰빙을 고려한 공간으로 완성했습니다.
인터뷰룸 내부는 Slab to Slab 구조로 벽체를 구성해 외부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전체 벽면에는 패브릭 보드를 적용해 흡음 성능을 높였습니다. TV는 벽면에 매립하고, 하단에는 펜트레이 기능을 더해 전시 선반 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습니다. 실용성과 심플한 디자인이 조화를 이루며, 인터뷰에 집중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간으로 완성했습니다.
대회의실
하이픈디자인은 대회의실을 판교역 방향의 넓은 창면적을 따라 배치해, 자연광과 개방감을 극대화했습니다. 최대 30인이 함께 사용해도 여유로운, 밝고 쾌적한 회의 환경을 구현했습니다.
대회의실의 재미있는 설계 포인트는 모든 좌석이 1인 이동식이라는 점입니다. 회의부터 게임 시연까지 다양한 상황에 맞춰 자유롭게 조정 가능하고, 가구 역시 기존 것을 재사용해 친환경 가치까지 놓치지 않았죠. 또한 전 좌석은 기존 가구를 재활용해 자원 순환의 가치를 실현했으며, 창면을 따라 배치한 설계로 14층의 탁 트인 조망까지 극대화했습니다.
수면실
하이픈디자인은 장시간 업무에 집중하는 크루들의 회복과 몰입을 지원하기 위해, 별도의 수면실 공간을 리모델링 했는데요.
내부는 조도를 낮춘 아늑한 분위기로, 양질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업무 공간과 확실히 분리된 이 휴식 공간은 직원들의 심리적 안정과 리프레시를 돕는, 카카오게임즈만의 복지 철학을 반영한 공간입니다.
사이니지
수면실과 크루 케어룸 등 주요 복지 공간에는 하이픈디자인이 설계한 조명 내장형 사이니지를 적용해, 이용 여부를 누구나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게임 속 NPC 상호작용에서 착안해 ‘머리 위 느낌표’를 형상화한 이 디자인은,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직관적인 안내 장치로 작동하며, 저시력 근무자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유니버설 디자인으로 구현했습니다.
사이다룸(마사지룸)
사이다룸은 시각장애인 안마사가 운영하는 공간으로, 단순한 휴식 공간을 넘어 사회적 가치 실현까지 고려한 공간으로 구현했습니다. 심플한 구성 속에서도 사용자의 정서적 안정과 회복을 도울 수 있도록 톤다운된 조명과 마감재를 사용하였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사무실 리뉴얼을 넘어,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한 사무실 리뉴얼을 넘어, ESG를 실천하는 카카오게임즈의 철학을 공간에 녹여낸 사례입니다. 친환경 마감재 활용부터, 직원의 정서적 안정과 업무 효율을 고려한 설계, 동선의 명확한 분리까지.
실제로 카카오게임즈는 ISO 14001 환경경영시스템 인증, MSCI ESG 평가 AAA 등급 등 국내 게임사 중 ESG 경영을 가장 선도적으로 실천하는 기업입니다. 사무공간 또한 그 철학을 담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죠.
지금, 지속가능한 공간을 고민하고 계신가요? 하이픈디자인이 함께 고민하고, 가장 현실적인 솔루션을 제안해 드리겠습니다. 지금 문의해 보세요!
스마트하게. 쉽게. 합리적으로